무르실리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르실리 1세는 기원전 16세기 히타이트 왕국의 왕이었다. 하투실리 1세의 손자였던 그는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북부 시리아에서 전쟁을 재개하고, 야므하드 왕국과 알레포를 정복했다. 또한, 기원전 1595년에는 메소포타미아로 원정하여 바빌론을 약탈했으나, 바빌론을 점령하지는 않았다. 바빌론 원정 후 귀환하던 중 암살당했으며, 그의 죽음은 히타이트 제국의 사회적 불안을 초래했다. 무르실리 1세는 비디오 게임 《문명 III》에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6세기 통치자 - 태갑
태갑은 상나라의 왕으로, 폭정을 일삼다 재상 이윤에 의해 유배되었으나 뉘우치고 복위하여 선정을 베풀었다고 전해지며, 갑골문에는 세 번째 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 기원전 16세기 통치자 - 하투실리 1세
하투실리 1세는 기원전 16세기경 히타이트 왕국의 왕으로, 수도를 네사에서 하투사로 옮기고 정복 활동을 통해 히타이트의 세력을 확장했으며, 그의 통치는 "하투실리 연대기"를 통해 상세히 알려져 있고 말년에는 손자인 무르실리 1세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 히타이트의 왕 - 하투실리 3세
하투실리 3세는 히타이트 왕국의 왕으로, 조카의 왕위를 찬탈하고 이집트의 람세스 2세와 평화 조약을 맺어 시리아 지역의 안정을 도모했으며, 다양한 기록과 외교 문서를 남겼다. - 히타이트의 왕 - 무와탈리 2세
무와탈리 2세는 기원전 13세기 히타이트 제국의 왕으로, 수도를 하투사에서 타르훈타사로 이전하고 카데시 전투에서 람세스 2세와 대결하였으며, 윌루사(트로이)와의 조약을 통해 히타이트의 영향력을 유지하려 했다.
무르실리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칭호 | 히타이트 왕 |
배우자 | 칼리 |
친척 | 하라프실리 (자매) |
부모 | Ḫaštayara 하슈타야라 |
후임 | 한틸리 1세 |
생애 | |
재위 기간 | 기원전 1540년경 - 기원전 1530년경 |
왕조 | |
왕가 | 불명 |
전임 및 후임 | |
전임자 | 하투실리 1세 |
후임자 | 한틸리 1세 |
대수 | 3대 |
직책 | 히타이트 왕 |
임기 | 기원전 1620년 - 기원전 1595년 |
2. 즉위 배경
무르실리 1세는 전왕 하투실리 1세의 손자였다. 하투실리 1세는 자신의 아들들이 반역을 꾀하자 이에 분노하여 귀족 회의를 열었고, 이 회의에서 무르실리 1세를 후계자로 인정받았다. 하투실리 1세가 사망한 후, 무르실리는 미성년의 나이에 왕위에 올랐다.[6] 그는 젊은 나이에 즉위했음에도 불구하고 일찍부터 주변 국가와의 전쟁에 종사했다.
3. 군사 원정
교전 세력 1 히타이트 제국 교전 세력 2 얌하드 왕국
바빌론
소규모 시리아 도시 국가들지휘관 1 무르실리 1세 지휘관 2 일리밈마 1세
삼수-디타나피해 양측 불명